농수산과장 최병훈입니다.
2020년도 예산안에 대한 전문위원 검토보고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457페이지 농산물 수출 활성화 지원입니다.
농산물 수출 활성화 지원사업은 농식품 수출 운송비 등 수출 물류비를 일부 지원하여 농가 부담을 경감시키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대상품목은 관내에서 생산한 수출실적이 있는 과실류, 화훼류, 채소류 등 신선농산물입니다.
지원기준은 수출물량 × 표준물류비의 20%를 한도로 지원하며 지원비율은 시비 30%, 구비 70%입니다.
그간 추진실적으로 2014년 배 16t, 2015년 김치 385t, 2017년 배 1t등을 지원하였습니다.
2019년8월 농소수출딸기작목반을 결성하여 중산동, 창평동 일원 4만8,000㎡에 수출단지 등록을 완료하였고, 12월 중순부터 베트남에 딸기를 첫 수출할 계획입니다.
2020년 수요조사 결과 농소수출딸기작목반에서 연간 50t 수출 계획이 있어 내년 수출물량 증가를 감안하여 6,822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69페이지, 원연암마을 도시 생태휴식공간 조성입니다.
원연암마을 도시 생태휴식공간 조성사업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시행되고 도시 내 유휴공간을 생태적으로 복원하여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진 생태 휴식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2019년6월26일 공모 선정 이후 2회 추경 확보하여 10월부터 2020년4월까지 실시설계 용역 시행계획이며 2020년5월부터 사업 착공 계획입니다.
주요내용은 생태복원 숲, 완충수림대, 소생물 서식 습지 조성 등을 통한 생태 휴식공간 조성사업입니다.
다음은 469페이지, 연암소류지 도시 생태휴식공간 조성입니다.
연암소류지 도시 생태휴식공간 조성사업은 도심 주변 유휴 공간에 생태탐방로 조성 등을 통한 도심 속 자연 생태학습 공간을 마련하고 구국도 31호선 주변 벚꽃나무길 및 광산골 등산로 연계로 북구 관광 자원 활성화를 위해 진행하는 도시 생태휴식공간 조성사업입니다.
2020년1월부터 실시설계용역 및 사업 착공 계획이며 주요내용은 소생태계 조성 및 생태탐방로, 연꽃단지 조성 등입니다.
다음은 470페이지, 심청골못 도시 생태휴식공간 조성입니다.
심청골못 도시 생태휴식공간 조성사업은 도심지 내 유휴 공간에 생태탐방로 조성 등을 통한 도심 속 자연생태학습 공간을 마련하고 심청골 등산로 주변 도시생태 휴식공간 제공을 통한 도시민 힐링 공간 조성으로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2020년1월부터 실시설계용역 및 사업착공 계획이며 주요내용은 완충수림대 조성, 생태탐방로, 소생물 서식지 조성 등입니다.
도시 생태 휴식공간 조성을 통해 자연과 사람의 공존을 통한 생태휴식 및 여가 공간을 제공하여 북구민의 보다 나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472페이지, 어항개발계획 수립 및 고시 용역입니다.
관내에는 총8개의 어항이 있으며, 이중 우리 구가 지정한 어항(신명항, 신명굼바우항, 제전항, 어물항)은 4개소로 이것을 어촌정주어항이라 정의하고 있습니다.
2007년 어항개발계획 수립 이후 어선·어장 및 어항 내 시설이 변화하였고, 이에 따른 어선의 안전정박과 어업인 소득증대가 필요함과 동시에 어항의 주위 해변 관광객 증가 등 어촌정주어항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어촌정주어항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어항의 항세, 자연조건, 배후지 여건, 해저 지질 등을 조사·분석하여 어촌정주어항의 개발계획을 수립 고시함으로써 지역특성에 맞는 어항으로 개발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려는 것입니다.
사업완료 후 어촌정주어항이 새로이 지정 고시되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계기는 물론 국·시비 지원을 통해 어촌정주어항 발전 및 외부 자본 투자가 활발해 질것으로 기대됩니다.
다음은 472페이지, 당사항 및 어물항 어촌뉴딜300사업입니다.
당사항 및 어물항 어촌뉴딜300사업은 해양수산부에서 추진하는 어촌뉴딜300사업에 우리 구가 공모 신청한 사업입니다.
어촌뉴딜 300사업 가이드라인에 따라 공모 신청 충족요건으로 총사업비 중 지방비의 7%는 2020년 본 예산에 확보되어야 하므로 3억 원을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어촌뉴딜300사업의 최종 대상지 발표는 올해 12월 중순으로 예상되며 대상지로 선정 시 2020년1월부터 2022년12월까지 142억 원의 사업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상으로 전문위원 검토보고에 대한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